정부는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지급과 맞물려 정부·카드사·은행 등을 사칭한 다양한 스미싱 공격에 주의할 것을 14일 당부했다.

소비쿠폰 지급대상·금액을 안내한다거나 카드 사용 승인·신청 등을 해준다며 '인터넷주소 바로가기'(URL)가 포함된 휴대전화 문자(SMS)를 전송한 뒤 이용자가 해당 URL을 누르면 악성 앱이 설치되도록 해 금융정보·개인정보 등을 탈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같은 스미싱 피해를 사전 예방하기 위해 정부·카드사·지역화폐사는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관련해 '인터넷 주소 바로가기'가 포함된 문자와 소셜미디어(SNS) 안내 문자를 일절 발송하지 않을 예정이다.
또 유사한 기능을 하는 배너 링크나 푸시 기능도 절대 제공하지 않을 방침이다.

이미지 확대배너 클릭을 유도하는 스미싱 문자 예시
배너 클릭을 유도하는 스미싱 문자 예시
[행정안전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앞서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관련해 현재까지 관계기관이 탐지·대응한 스미싱 건수는 모두 430건으로 집계됐다. 다만 스미싱 유포에 따른 피해 사실은 없었다.
1차 소비쿠폰 관련 스미싱 유형 분석 결과, 대부분 불법 도박사이트 광고 및 접속유도였으며 개인정보 탈취형 스미싱 악성 앱 유형도 탐지됐다.
개인정보 탈취형 스미싱 악성 앱은 감염 후 주변인들에게 스미싱 문자를 재유포하는 기능도 탑재돼 이용자들이 특히 주의해야 한다고 정부는 전했다.
만약 스미싱 의심 문자를 받았거나 문자 내 인터넷 주소 바로가기를 클릭한 이후 악성 앱 감염 등이 의심되는 경우엔 24시간 무료로 운영하는 한국인터넷진흥원 118상담센터(☎118)로 신고하고 상담받을 수 있다.
정부는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지급 전 각 통신사 명의로 '스미싱 피해예방 문자'를 순차 발송하고, 온라인 신청페이지에 스미싱 주의 안내 문구를 포함하며, 어르신 등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해 은행과 지방자치단체(주민센터)를 통한 대면 신청 시에도 안내를 병행할 예정이다.
또 금융감독원·경찰청·한국인터넷진흥원 등을 통해 스미싱 공격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피해신고 시 즉시 수사에 착수하는 등 신속 대응체계도 지속 운영할 계획이다.
출처: 연합뉴스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게 검사냐 깡패지 (0) | 2025.09.25 |
---|---|
감기인줄 알았다가 병원행 (0) | 2025.09.21 |
우크라이나 전쟁은 새로운 국면으로... (0) | 2025.09.11 |
네팔 반정부 시위 (0) | 2025.09.10 |
냉매 없는 에어컨 가능할까? (0) | 2025.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