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2864

처음엔 호감인데 금방 싫어지는 이유

처음엔 꽤 괜찮은 인상을 줬던 사람이 시간이 지나면서 이상하게 거리를 두고 싶어질 때가 있습니다.분명 호감이 생겼었는데, 왜 금방 마음이 식었을까요?그냥 성격이 안 맞아서일 수도 있지만, 알고 보면 그 속에는 몇 가지 공통된 모습이 숨어 있을지도 모릅니다.오늘은 그런 상황에서 자주 나타나는 행동 다섯 가지를 이야기해보려 합니다.1. 말과 행동이 따로 놀 때듣기 좋은 말만으론 오래가지 않습니다처음 만났을 땐 누구나 좋은 말을 건넵니다.상대를 배려하는 말투, 호의적인 태도는 자연스레 호감을 만들어주죠.그런데 시간이 지나도 말만 그렇고 실제 행동은 전혀 다르다면, 믿음이 흔들리기 시작합니다.특히 사소한 약속을 자주 잊거나, 책임을 슬쩍 넘기는 모습이 반복되면 어느 순간 마음의 문이 닫히게 됩니다.2. 자랑이 ..

아는 것이 힘 2025.07.12

순자가 말하는 절대 믿어선 안 될 사람

순자는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고 말했다. 따라서 사람은 스스로 수양하고, 법과 예로써 다스려야 한다고 강조했다.이런 순자의 사상을 바탕으로 보면, 신뢰하지 말아야 할 사람의 특징도 명확해진다. 그는 말했다. “그런 사람은 절대 믿지 마라.”1. 겉으론 공손하지만 속으로는 이기적인 사람예의와 말투는 정중하지만, 모든 행동이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쪽으로만 움직이는 사람이 있다. 순자는 이런 사람을 ‘예로 포장된 간사함’이라 하며 경계했다. 겉모습에 속으면 인간의 본질을 놓치게 된다.2. 말과 행동이 다르게 움직이는 사람입으로는 옳은 소리를 하면서도 실제 행동은 거짓과 욕심으로 가득한 사람은, 그 자체가 위험한 존재다. 순자는 말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는 자는 ‘말의 무기로 남을 속이는 자’라 했다. 믿고 따를수..

아는 것이 힘 2025.07.11

완주에 가면

최근에 전주 수목원, 아가페 수목원 등을 다녀본 재미에 따라 완주에 소재한 대아수목원을 다녀왔다.비교적 큰 규모에 비해 좀 재미가 없다.Amusement 즉, 재미 또는 즐거움의 요소가 가미되지 않으면 집객에 실패한다는 사실을 간과한 듯한 느낌이 든다.그래서인지 휴가철임에도 불구하고 방문객이 별로 없어 보였다.이 여름에 산림체험을 굳이 수 억원의 비용이 들었을 유리집 속에서 해야 할 필요가 있겠나 싶기도 했다.작은 산 하나가 유리집 속에 든 모습이신기하다.수목원이라는 이름에 너무 충실해서꽃을 보기 힘들 정도로 수목만 가득해무미건조한 느낌이 들어서 아쉬웠다.계절별로 피고지는 꽃들이 어우러진 것이 수목원의 또다른 볼거리가 아닌가?다행히 10km쯤 떨어진 곳에#오성 한옥마을 등의 한옥 고택이 있어서 볼거리가..

Entertainment 2025.07.11

노후에 없으면 인생 진짜 초라해지는 것

노후가 초라해지는 이유는 단순히 돈이 없어서가 아니다. 시간이 갈수록 드러나는 건 삶의 태도와 준비의 차이이다.잘 사는 사람과 힘들게 사는 사람의 간격은 크지 않지만, 어떤 것을 갖고 있느냐에 따라 극명하게 갈린다.4위 자기 관리 루틴이 없다나이 들어도 자기 관리를 놓지 않는 사람은 쉽게 무너지지 않는다. 가벼운 운동, 일정한 수면, 마음을 다스리는 루틴이 있는 사람은 나이와 상관없이 생기가 있다.반대로 하루를 되는 대로 보내는 사람은 쉽게 무기력에 빠지고, 건강도 함께 무너진다.3위 편하게 연락할 수 있는 사람이 없다편하게 밥 한 끼 먹자고 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는 건 노후의 큰 자산이다. 돈이나 재산보다 중요한 건, 함께 이야기를 나눌 사람이 있는가 하는 점이다.그런 사람이 있는 사람은 늙어도 외롭..

아는 것이 힘 2025.07.10

빈둥거리는 시간

보통 몰입이라는 단어에는'푹 빠져든다'라는 뉘앙스는 충분히전달되는 데 반해 진정한 몰입을 위해서꼭 필요한 비몰입의 시간, 즉 무질서한 시간,게으름의 시간, 빈둥거리는 시간, 휴식과 같은충분한 이완과 여백의 시간들에 관한 중요성이간과되는 측면이 있다. 사실 무엇이든 주어진계획을 열심히 잘 지키는 것, 성실한 것을미덕으로 삼아온 우리에게 휴식이란어쩐지 죄책감마저 느끼게 하는불편한 영역이 된 것 같다.- 조우석의 《간헐적 몰입》 중에서 -

좋은 글 2025.07.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