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한강버스 또 섰네? 중단하라는 뜻인 듯...

Recompanion 2025. 11. 16. 19:00
반응형

잇단 고장으로 한 달여간 탑승 운항을 멈췄다가 재운항한 지 보름도 안 돼, 한강버스가 다시 멈춰 섰다. 서울시는 잠실·뚝섬·옥수·압구정 등 한남대교 상류 모든 선착장 운항을 16일부터 18일까지 사흘간 전면 중단하고 수심·이물질 점검과 추가 준설에 들어간다. 서울시가 “안전 운항” “정시 운항”을 강조하며 다시 띄운 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또 사고가 벌어지면서, 한강 수상교통 실험이 안전 관리 부실 논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16일 서울시에 따르면, 15일 저녁 8시15분께 잠실선착장에서 약 118m 떨어진 지점에서 하이브리드 추진체 선박인 한강버스 102호가 하천 바닥과 선박 아래가 부딪히며 멈춰 섰다. 당시 배에는 승객 82명이 타고 있었으며, 승객들은 소방 구조정과 서울경찰청 한강경찰대에 의해 한 시간 뒤인 밤 9시18분께 모두 잠실 선착장으로 구조됐다.


사고 순간 배 안에서는 ‘‘쿵’하는 충격이 전해진 것으로 알려졌다. 박진영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장은 사고 직후 현장 브리핑에서 “선체 아래 프로펠러와 이를 보호하는 스케그가 바닥을 긁으며 충격이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며 “사고 지점이 선착장과 가깝고 승객 대부분이 좌석에 앉아 있어 다친 사람은 없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만약 선착장과 더 먼 지점에서, 혹은 선수에 승객이 몰린 상황에서 이런 충격이 발생했다면 추락 등 2차 사고가 이어질수도 있었다는 지적도 나온다. 서울시는 애초 운항 중에는 승객을 선내에 머물도록 했지만, 시험운항 당시 선수 개방에 대한 반응이 좋다며 보호대 높이를 높이고 선수에 승객이 나갈 수 있도록 출입을 허용한 바 있다.


서울시는 이번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항로 이탈을 꼽았다. 박 본부장은 사고 직후 “정상 항로에서 접촉이 발생했다”고 밝혔지만, 서울시는 16일 “배가 항로를 이탈해 수심이 낮은 구간에서 배가 걸렸다”고 정정했다. 또 밤에도 항로를 잘 볼 수 있도록 지난 7월 한강에 ‘한강버스용 저수심 구간 항로 표시등’을 설치했는데, 표시등의 밝기가 약해 선장이 제대로 확인할 수 없었던 것도 간접원인으로 지목했다. 해당 표시등은 태양광으로만 충전하는 시스템으로, 서울시는 표시등 결함인지 배터리 잔량 부족인지 확인하고 있다.


잠실~뚝섬 구간은 원래 수심이 얕아 준설을 통해 항로를 확보한 곳으로, 가스관 보호공 등 지정물이 있어 운항할 때 주의가 필요한 곳이다. 이에 잠실 선착장 바로 인근 선착장인 뚝섬 선착장 인근에서도 최근 비슷한 사고가 잇따랐다. 지난 11일 뚝섬 선착장으로 입항하던 한강버스 프로펠러에 로프가 감겨 잠수부가 투입됐고, 15일 낮에도 이 선착장 인근에서 ‘바닥이 긁히는 느낌이 든다’는 선장의 보고도 있었다. 서울시는 잠실 선착장 인근 항로에서 최소 1m 이상의 여유 수심을 확보해왔다고 하나, 최근 강수량 부족으로 한강 수량이 낮아진 것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 있다.



전체 기사 보기



토요일 밤에 멈춘 한강버스, 재운항 2주 만에 또 사고 https://share.google/D7kiRtamDBG2DXJhy




반응형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님이 남긴 글  (7) 2025.11.18
한파주의보 발효  (0) 2025.11.17
중국의 일본 여행 억제, 날벼락 맞은 일본  (0) 2025.11.16
통일교의 비례대표 지분은?  (4) 2025.11.15
손흥민 골의 아름다운 궤적  (6) 2025.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