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로 요금소 앞에서 매번 속도를 줄이고, 하이패스 차로를 찾느라 차선을 급하게 바꾸는 풍경은 곧 과거의 장면이 될 전망이다. 한국도로공사가 추진 중인 차세대 무정차 요금징수 시스템 ‘스마트 톨링(Smart Tolling)’이 전국 도입을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 운전자는 시속 100km로 달리면서도 멈추지 않고 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 하이패스 단말기 없이도 말이다.
‘하이패스 없는 차도 통과 가능’… 교통체증의 시대가 끝난다
기존 하이패스 시스템은 편리했지만 완벽하지 않았다. 단말기가 없는 차량은 여전히 멈춰서 요금을 내야 했고, 단말기를 장착한 차량조차도 신호 인식을 위해 속도를 낮춰야 했다. 이 과정에서 반복되는 감속과 가속은 교통 흐름을 끊고, 요금소 부근 교통 체증의 주범이 되었다. 하지만 스마트 톨링은 이 구조 자체를 완전히 바꿔놓는다.
요금소 구간에 물리적 차단기가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 초고해상도 카메라와 레이저 감지기가 시속 100km로 통과하는 차량의 번호판과 차종을 순간적으로 인식해 요금을 자동 계산한다. 하이패스가 통신 신호로 차량 정보를 주고받았다면, 스마트 톨링은 ‘시각 인식’ 기반으로 진화했다는 점에서 완전히 다르다.
기술의 핵심은 ‘고속 인식’과 ‘자동 분류’
스마트 톨링의 작동 원리는 단순하지만 정교하다. 톨게이트 상단에는 차량 번호판 인식용 카메라와
차종별 무게·높이 측정 센서가 설치된다. 차량이 고속으로 통과하더라도 시스템이 번호판, 차종, 차선 위치를 동시에 판별해 요금을 산정한다.
기존 하이패스의 한계였던 “시속 80km 이하 감속” 조건이 사라지면서, 최대 110km/h 주행 중에도 정확한 인식이 가능하다. 이제 요금소 앞의 ‘감속 구간’은 사라지고, 고속도로의 흐름은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말 그대로 진짜 ‘논스톱 하이패스’ 시대가 열리는 것이다.

단말기 없어도 OK… 번호판으로 자동 결제
스마트 톨링의 또 하나의 장점은 단말기 없이도 결제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운전자는 한국도로공사 홈페이지나 ‘고속도로 통행료’ 앱에서 차량 번호와 신용카드를 등록하면 된다. 그 후부터는 톨게이트를 무정차로 통과해도 자동으로 결제가 이뤄진다.
만약 사전 등록이 되어 있지 않아도 걱정 없다. 시스템이 차량 번호를 인식해 고지서를 문자나 우편으로 발송한다. 단 한 번의 클릭으로 온라인 납부가 가능해 현금 납부, 충전식 하이패스 카드 관리 같은 번거로움이 완전히 사라진다.
정체·사고·소음 감소… ‘도로의 체질’이 바뀐다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스마트 톨링이 도입되면 요금소 정체로 낭비되는 시간이 대폭 줄어든다. 또한, 감속·가속 과정에서 발생하던 배출가스와 소음도 눈에 띄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까지는 단말기 오류나 차선 변경으로 인한 추돌사고가 잦았다.
하지만 스마트 톨링은 차선 구분이 없는 ‘자유통행 구간’으로 운영되어 이런 위험요소를 근본적으로 제거한다. 실제 시범 운영 결과, 통행 시간은 평균 40% 이상 단축, 사소한 접촉 사고는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9개 요금소 시범 운영… 전국 확대 임박
스마트 톨링은 2024년 기준 경기 대왕판교, 전남 서영암, 강진무위사 등 전국 9개 요금소에서 시범 운영을 마쳤다. 운전자들은 “정체가 줄고 훨씬 쾌적해졌다”는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다만 일부 화물 운수업체에서는 “요금 인식 오류나 시스템 적응에 시간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도로공사는 시범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식 정확도와 보안성을 개선한 후 2026년까지 전국 고속도로에 단계적으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차를 멈추지 않는 고속도로’로 가는 길
스마트 톨링은 단순히 요금 징수 방식을 바꾸는 기술이 아니다. 한국 도로 인프라 전체의 ‘체질’을 바꾸는 혁신이다. 정체가 줄면 물류 이동이 빨라지고, 연료비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 효과까지 이어진다.
결국 이 시스템은 운전자 편의뿐 아니라 경제와 환경을 동시에 개선하는 교통 혁신인 셈이다. ‘속도는 유지하고, 결제는 자동으로’ 이제 한국의 고속도로는 진짜 의미의 ‘고속도로’로 거듭나고 있다.
Copyright © EXTREME RACING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내년부터 모든 전기 전자제품 재활용 (0) | 2025.11.12 |
|---|---|
| 한 번만 복용하면 콜레스테롤 수치 하강 끝 (0) | 2025.11.12 |
| 의대 교수의 인생 2막 (0) | 2025.11.10 |
| 과학 발전을 위한 솔직 발언 (0) | 2025.11.08 |
| 구청장 정원오 (0) | 2025.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