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녀 간의 수명 차이는 단순한 생활습관이나 의료 접근성의 문제가 아니라, 생물학적 진화의 산물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 연구팀은 전 세계 15개 연구기관과 함께 1,100종이 넘는 포유류와 조류의 암수 수명을 비교 분석한 결과, 암컷이 수컷보다 오래 사는 경향은 인간만의 특징이 아닌 진화적으로 각인된 현상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진화 과학(Science Advances)⟫에 발표한 이 연구에 따르면 포유류의 암컷은 수컷보다 평균 13% 더 오래 살았으며, 반대로 조류에서는 수컷이 암컷보다 약 5% 더 오래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성염색체의 구조, 짝짓기 전략, 육아 행동 등 여러 요인의 복합적 작용에 의해 결정된다고 연구팀은 분석했다.
염색체의 비밀, X와 Y가 만든 수명 격차
포유류에서 암컷은 X 염색체를 두 개 가지고 있지만, 수컷은 X와 Y 염색체를 각각 하나씩 지닌다. 이른바 '이형접합 성(heterogametic sex)' 가설에 따르면, X 염색체가 두 개인 암컷은 한쪽 염색체의 돌연변이를 다른 쪽이 보완할 수 있어 유전적 손상을 덜 받는다. 반면 수컷은 보완 장치가 없어 질병에 취약하고 수명이 짧아진다.
조류에서는 이 구조가 반대로 작용한다. 암컷이 Z와 W 염색체를 가진 이형접합 성이며, 수컷이 ZZ 염색체를 가진 동형접합 성이다. 따라서 조류의 경우 수컷이 더 오래 사는 경향을 보인다. 실제로 연구에서 포유류의 72%는 암컷이 더 오래 살았지만, 조류의 68%에서는 수컷이 더 장수했다. 다만 맹금류처럼 암컷이 더 크고 오래 사는 예외도 있어, 염색체 요인은 전체 그림의 일부에 불과하다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이다.
짝짓기 경쟁과 양육의 진화적 대가
진화적 성 선택도 수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다수의 암컷을 차지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는 종, 예를 들어 사자나 고릴라처럼 수컷 간의 싸움이 잦은 동물에서는 수컷의 평균 수명이 짧다. 경쟁 과정에서 에너지를 과도하게 소비하고 부상, 스트레스, 면역저하 등의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일부 일처제 조류처럼 짝짓기 경쟁이 적은 종에서는 수컷이 오히려 더 오래 사는 경향을 보였다.
양육도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포유류의 경우 암컷이 새끼를 돌보는 역할을 맡기 때문에, 생존 기간이 길수록 유전적 성공률이 높아진다. 연구진은 "장수는 단순한 생물학적 우연이 아니라, 자손의 생존을 보장하기 위한 진화적 선택 압력의 결과"라고 설명했다.
수명 차이가 환경적 요인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진은 전 세계 동물원 데이터를 분석했다. 포식자나 질병, 기후 같은 외부 스트레스가 적은 환경에서는 암수 간 수명 차이가 줄었다. 인간 사회의 남녀 수명 격차 또한 의료 수준과 생활 환경이 개선되면 좁혀졌다. 다만 동물과 인간 모두 그 격차가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다.
여성이 남성보다 오래사는 이유, 진화적 차이
이번 연구는 '여성이 왜 남성보다 오래 사는가'라는 오랜 질문에 대해, 환경이 아닌 진화의 설계도 속에 새겨진 차이임을 과학적으로 보여준다. 성염색체 구조, 성 선택, 육아 전략 등은 수백만 년의 진화 과정을 통해 형성된 생물학적 원리로, 단기간의 사회 변화로 뒤집기 어렵다.
연구를 이끈 요한나 슈타르크 박사는 "수컷과 암컷의 수명 격차는 단순한 문화적 산물이 아니라 진화의 결과"라며 "이는 인간을 포함한 대부분의 종에서 앞으로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출처: 코메디닷컴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급락하는 금값 (0) | 2025.11.01 |
|---|---|
| 포괄적 강국, 한국의 명암 (0) | 2025.10.31 |
| 트롯 '가인이어라'가 교과서에 실려 (0) | 2025.10.30 |
| 스마트 횡단보도 (0) | 2025.10.30 |
| 노동절 64년 만에 부활 (0) | 2025.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