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치를 아는 나이’로 불리는 50세, 지천명. 실제로 전반적인 뇌 기능의 정점이 50세 이후에 도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반적으로 신체 기능은 20~30대 부터 서서히 노화한다. 기억하고, 정보를 빨리 처리하는 등의 인지 능력도 20대 중반부터 감소하기 시작한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오히려 50대 이후에 인생의 가장 큰 성취를 거두는 사람이 많다.

호주 서부호주대 심리과학부 질 지냑 교수팀은 단순한 처리 능력을 넘어 결정·정서 지능 등을 포함한 복합적인 인지 능력의 연령별 추세를 확인하고자 했다.
1943년 심리학자 레이먼드 카텔은 '유동적 지능'과 '결정화된 지능' 개념을 도입한 적이 있다. 유동적 기능은 정보를 빠르게 처리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고, 결정화된 지능은 사전 학습으로 습득되는 능력이다. 연구팀이 확인한 복합적 인지 능력은 유동적 지능과 결정화된 지능을 모두 포괄한다.
연구팀은 인간의 실질적 뇌 기능을 구성한다고 여겨지는 16가지 세부지표를 먼저 선정했다. 인지 능력에 포함되는 4가지(추론·결정 속도·기억력·결정지식), 성격 5요인(성실성·정서적 안정성·개방성·외향성·친화성), 심리·의사결정 관련 능력(감성지능·금융 이해력·도덕적 추론·매몰비용 오류 저항성·인지적 유연성·인지적 공감·사고 욕구) 등이 포함됐다.
연구팀은 성인기 전 연령대를 포함한 대규모 연구 22편의 데이터를 통합해, 연령별 평균값을 추출하고 하나의 종합 그래프로 시각화했다. 성실성은 65세, 정서적 안정성은 75세 즈음에 정점에 도달했는데, 이런 요인들이 중년기 종합 지수 상승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됐다. 정확하지 않은 결정을 의심하는 능력은 70~80대 까지도 향상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인지 능력 종합 지수의 정점은 55~60세 사이에 도달했고, 65세부터 감소했다. 75세에 감소세가 가팔라졌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는 단순한 기억력 중심의 지능 개념을 넘어, 더 광범위한 적응적 특성까지 포함하면 인간의 인지 기능 역량이 중년에 최고조에 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Intelligence'에 최근 게재됐다.
출처: 헬스조선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국감 도중 그림 그리는 국회의원 (0) | 2025.10.28 |
|---|---|
| 손흥민 MLS 올해의 골 수상 (0) | 2025.10.28 |
| 차라리 전자파가 낫다 (0) | 2025.10.23 |
| 농어촌 기본소득 (0) | 2025.10.22 |
| 40년만의 교통신호 혁명 (0) | 2025.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