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 것이 힘

열폭이란?

Recompanion 2025. 8. 26. 17:10
반응형

원래 뜻과 다르게 '열내며 폭발', '열 받아 폭발', '열 폭발'(熱爆發), '열라 폭발' 등의 의미로 잘못 이해하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즉, '열폭하다'를 '흥분하다', '화내다'와 같은 의미로 이해하는 것. 이때의 감정상태는 '분노'가 옳은 표현이다.

인터넷에서 열등감을 느낄 이유가 전혀 없는 상황에서도 화를 내거나 도발에 넘어갈 경우 열폭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보이는데, 열폭의 의미를 위의 의미로 잘못 알고 있는 것이다.






단어가 만들어진 정확한 시기를 알 수는 없으나 2006년 내지 2007년에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어원인 '열등감 폭발(劣等感爆発)'이라는 표현은 인조이재팬의 일본인들이 가장 먼저 사용했다.

한국에서는 2020년대까지 와서도 계속 사용되고 있는데, 일본에서는 종종 '劣爆(ヨルポク)', 즉 열폭이 한국의 신조어라고 소개되기도 한다.

'열등감 폭발'이라는 표현은 일본에서 유래하지만 이걸 '열폭'으로 줄여 쓴 건 한국에서 유래한다고 보면 된다.


결론적으로 열폭이란?
열등감 폭발(劣等感爆發)의 준말로,
타인을 질투하며 내비추는 열등감이 
폭발할 정도로 터져나온다는 의미이다.



출처: 나무위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