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운 땡볕 아래 장시간 차를 주차해 두면 차량 내부 온도는 섭씨 50~70도까지 증가한다. 뜨거워진 실내는 단순한 불쾌함을 넘어, 두고 간 물건을 폭발시켜 화재 위험에 노출시킬 우려가 있다.

ㅡ
폭발 위험 큰 인화물질
ㅡ
흡연자의 필수품인 라이터는 여름철 차량에 두기 가장 위험한 물품 중 하나다. 특히 대시보드처럼 직사광선을 받는 곳에 두면 위험이 커진다.
실제로 한 실험에서 대시보드 위 라이터는 내부 온도가 섭씨 82도에 도달하자 폭발했다. 차박이나 캠핑 시 필요한 부탄가스 역시 같은 이유로 당연히 조심해야 할 품목이다.

ㅡ
탄산음료와 페트병도 주의
ㅡ
수분 보충을 위해 차 안에 두는 탄산음료 역시 폭발할 수 있다. 한국교통안전공단 실험에 따르면 섭씨 35도의 날씨에 차량을 4시간 주차했을 때 내부 온도가 섭씨 78도까지 상승하며 대시보드 위 캔이 터졌다.
고온에 오랜 시간 노출될수록 기포 증발로 인해 캔이나 페트병 내 압력이 상승하고 한계점을 넘으면 폭발하게 된다. 투명 페트병도 직사광선에 노출되면 돋보기처럼 빛을 모아 발화점이 형성돼 화재를 유발할 수 있어 위험하다.
ㅡ
전자기기와 보조배터리
ㅡ
노트북, 휴대전화 등 배터리가 내장된 전자기기는 고온에서 폭발하거나 변형될 위험이 있다. 특히 리튬이온 소재의 보조 배터리는 온도와 습도 변화에 매우 민감해 여름철 차량 내부에 방치할 경우 기능 저하뿐 아니라 안전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전자기기는 가급적 차 안에 두지 않는 것이 최선이다. 부득이하게 두어야 한다면 햇빛이 직접 닿지 않는 그늘진 곳에 주차 후 보관하고 창문을 조금 열어 내부 온도를 낮추는 등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ㅡ
알코올 손 소독제도 위험
ㅡ
코로나19 이후 차량 내 자주 비치되는 손 소독제도 여름철엔 주의가 필요하다. 일반적인 손소독제는 에탄올 함량이 60%가량이다. 휘발성이 강한 성분 때문에 뜨거워진 차량 내부에서 가연성 증기를 확산시킬 수 있다. 이때 조그마한 불꽃 등 점화 에너지가 가해지면 화재로 번질 수 있다.
과거 대구에서 어린이가 차 안에서 손소독제를 사용하려다 각막에 화상을 입은 사례가 보고됐다. 증기압이 높아진 용기에서 손소독제가 각막으로 튀어나왔기 때문이다. 미국에서는 차량 내 손 소독제를 사용한 직후 담배 불씨로 화재가 발생해 차량이 전소된 사례도 보고된 바 있다.
출처 : 오토트리뷴(https://www.autotribune.co.kr)
'아는 것이 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식당 계란말이의 비밀 (10) | 2025.08.08 |
|---|---|
| 못배운 티나는 사람의 행동 4가지 (6) | 2025.08.06 |
| 쌀씻는 방법 바꿔야 해 (10) | 2025.08.03 |
| ‘물티슈’로 식탁 닦는 사람, 꼭 보세요 (2) | 2025.08.02 |
| 넓데데한 얼굴과 얄쌍한 얼굴 (4) | 2025.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