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자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용어인 ‘주간주행등’. 이름 그대로 낮에도 주행 중에는 항상 켜져 있는 등화로, 요즘 판매되는 자동차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요소다. 전면에 장착되는 등화류라면 하향등과 상향등, 방향지시등 정도면 충분하다고 여겨질 수 있는데, 언제부턴가 주간주행등이 당연하다는 듯 탑재되기 시작했다.
“낮에 불빛이 켜져 있어봤자 얼마나 도움이 될까?”,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로 연비가 떨어지지는 않을까?”와 같은 의문이 들 수 있지만 접어둬도 된다. 주간주행등의 존재가 생각 이상으로 많은 도움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안전은 물론, 자동차 제조사 입장에서는 디자인 정체성을 드러내는 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고.

사고 확률 최대 25%까지 감소
실시간 급상승 기사
개발자 700명이 AI인것 처럼 연기하다 들통난 2조원대 사기 기업
일론 머스크, 한국에 “30조 투자 약속” 삼성·LG 동시에 잭팟 터졌다!
입에서 살살 녹는 육즙과 고소한 풍미가 살아 있는 전국 한우 맛집 5곳
우리나라의 경우 2015년 7월부터 출시되는 자동차에 주간주행등(Daytime Running Light, DRL) 적용이 의무화됐다. 낮에도 헤드램프를 켜둘 경우 사고 가능성이 유의미하게 줄어든다는 사실이 입증됐기 때문이다. 건물이나 포장된 도로 등 주변 풍경이 차량 색상과 비슷하다면 눈에 띄지 않지만, 전면에 불빛이 켜져 있으면 존재감이 부각되기 마련이다.
주간주행등이 켜져 있다면 주위 운전자들은 물론 보행자도 차량의 존재와 거동을 더욱 일찍 인지할 수 있고 실질적인 안전 효과로 이어지게 된다. 이에 관해 북미, 유럽 주요 국가에서 여러 연구가 이뤄졌으며, 주간주행등 의무화 후 교통사고 발생률이 대폭 감소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주간 주행 시 정면충돌 사고, 보행자 사고는 최대 25%까지 줄어드는 효과가 나타났다고.
정차 중에는 끌 방법 있다

주간주행등은 안전벨트, 에어백과 같이 운전자가 해당 기능을 임의로 비활성화할 수 없는 ‘필수 안전장치’로 분류돼 주행 중에는 끌 수 없다. 다만, 차종에 따라선 정차 상태에 한해서 끌 수도 있다. 변속 레인지가 P(주차)에 있고 주차 브레이크가 체결된 상태라면 헤드램프를 끌 때 주간주행등도 함께 꺼진다. 이는 헤드램프를 완전히 꺼야 하는 자동차 극장 등에서 도움 되는 기능이다.
혹자는 주간주행등이 연비를 악화시킨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기우에 불과하다. 주간주행등에 사용되는 광원은 대부분 LED인 만큼 전조등 전체 전력의 10% 정도만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는 미등과 비슷한 수준이다. 아울러 시동이 꺼진 상태라면 몰라도 주행 중일 땐 엔진과 함께 발전기가 함께 상시 가동되는 만큼 주간주행등 작동에 별도의 전력이 소모되지는 않는다.
구형 차에도 합법 장착 가능
국내에서 전조등 개조는 엄격하게 제한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11월부터는 주간주행등이 탑재되지 않은 구형 모델에도 주간주행등을 설치할 수 있게 됐다. 단, 지정된 규격을 충족하는 제품만 사용해야 하며, 구조 변경 절차도 거쳐야 한다. 굳이 추가 비용을 들여서 주간주행등을 장착할 필요를 못 느끼겠다면 주간에도 미등이나 하향등을 켜고 다니는 정도로 충분히 효과를 볼 수 있다.
한편, 완성차 제조사들은 주간주행등을 브랜드 고유 디자인, 즉 패밀리룩의 일부로 활용하고 있다. 초창기에는 헤드램프 박스 내에만 머물러 있었지만, LED 전조등 제조 기술이 점차 발전하면서 전면부의 다양한 부분으로 퍼져 나가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보닛 아래를 가로질러 일자로 연결되는 현대차 심리스 호라이즌 램프, 그릴 테두리를 두르는 BMW 아이코닉 라이트 등을 꼽을 수 있다.
출처: New automotive
'아는 것이 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물티슈’로 식탁 닦는 사람, 꼭 보세요 (2) | 2025.08.02 |
|---|---|
| 넓데데한 얼굴과 얄쌍한 얼굴 (4) | 2025.08.01 |
| 진짜 괜찮은 사람 알아보는 법 5 (2) | 2025.07.29 |
| 냉장고에 넣으면 2시간 안에 독으로 바뀌는 음식 (2) | 2025.07.27 |
| 베이킹소다와 치약의 만남 (4) | 2025.07.25 |